친구 붙잡고 싶을때 어카죠 제가 작년에 친해진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는 정말 부모님보다 절
제가 작년에 친해진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는 정말 부모님보다 절 잘 알고 가끔은 저 자신보다 저를 더 잘 알 때도 있고 제가 너무 힘들어서 상담받을때 그 친구만 옆에서 묵묵히 제 옆을 지켜줬고 위로해줬어요 또 무리에서 혼자 튕겼을때 그 친구는 충분히 그 무리에 들어갈수있었지만 저를 선택하고 같이 옆에 있어주기도 했어요 그냥 한마디로 너무 힘들때 구원자 처럼 제 옆에 다가와서 제가 힘들다하는 버거운말들을 하나하나 받아준셈리에요 근데 올해들어서 제가 그 친구한테 유독 짜증을 많이 부리고 엄청 예민해져서 그 친구랑 많이 싸웠는데 며칠전에 자잘한일로 싸웠다가 제가 혼나 짜증이 나서 미친사람 마냥 얘 한테는 내 소중함을 느끼게 해줬야겠다 마음 먹고 마음에도 없는 모진말들만 뱉어냈는데 그 상황에서 친구는 너가 뭘 속상해하는지 아니까 내가 더 노력하겠다 근데 너 요즘 힘들어보이고 많이 예민하니까 나랑 같이 이 상황 이겨 나가자 이런식으로 말했어요 그래서 제가 나중에 디엠한다하고 2일뒤에 디엠을 했는데 그 친구가 저랑 싸운 친구(a)랑 메모로 저격을 하는거에요… 진짜 a때문에 매일 울고 불안장애도 심해졌었는데 그래도 그 친구가 저한테 위로 많아 해줘서 버텼었는데 이걸 알면서도 둘이 인스타 메모로 저격을 하더라구요.. 그래서 디엠으로 우리 어떻게할래 이런식으로 했는데 친구는 이따 디엠한다면서 왜 지금 디엠하냐하면서 엄청 화냈어요 a랑 나 저격한거맞냐고 물어봤는데 그것도 맞대요.. 결국 그 친구는 저한테 손절하자 했어요 근데 진짜 저는 걔 없으면 못살거같고 너무 힘들고 울음만 나와ㅛㅓ 전화 7통 걸어서 겨우 통화했는데 그 친구도 ㅈ울고잌ㅅ는거 같았는데 쟤가 진짜 지금 안 잡으면 후회할거같아서 전화로 오열하면서 막 oo아 나 너 엊ㅅ으면 안돼 내가 잘할게 너한테 짜증도 안 내고 이런일 안 만들게 이랬는데 30초있다가 걔가 먼저 끊었어요.. 하ㅜ 가능성있나요? 저 진짜 걔 없으명 학교 학원 일상생활 불가능해질거같고 못버틸거같아요..
먼저, 님과 친구분 모두의 입장을 헤아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친구분은 님에게 정서적으로 매우 중요한 존재였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큰 위로와 지지가 되어주었죠.
- 최근 님께서 예민해지고 짜증을 많이 낸 것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고 계십니다.
- 친구분에게 마음에도 없는 모진 말을 뱉은 것에 대한 후회와 상실감이 크십니다.
- 친구분과 친구 A의 인스타그램 메모 저격은 님께 큰 배신감과 불안감을 안겨주었습니다.
- 친구분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절박함을 느끼고 계십니다.
- 친구분은 처음에는 님의 힘든 상황을 이해하고 함께 극복하려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하지만 님의 지속적인 짜증이나 모진 말들로 인해 친구분도 지치거나 상처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친구 A와의 메모 저격은 님에 대한 서운함이나 화가 쌓여 표출된 행동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행동이 님께 큰 상처가 된 것은 분명합니다.)
- 님의 연락에 화를 내고 결국 관계를 정리하려 한 것은, 친구분 역시 감정적으로 매우 힘들고 지쳐있음을 보여줍니다. 전화 통화에서 친구분도 울었다는 것은 그 관계가 친구분에게도 소중했음을 시사합니다.
님께서 가능성을 묻고 계신데, 단정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인 신호: 친구분이 전화 통화에서 울었다는 것은 님과의 관계에 대한 미련이나 슬픔이 남아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또한, 처음에는 님의 힘든 상황을 이해하려 했다는 점도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 어려운 신호: 친구분이 먼저 전화를 끊고 관계를 정리하려 했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관계에 대한 피로감과 상처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친구 A와의 저격은 님께 큰 상처를 주었고, 이는 신뢰 회복에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관계 회복은 양쪽의 노력과 시간이 필요한 매우 섬세한 과정입니다.
현재 님께서 친구분 없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불안감을 느끼시는 만큼, 우선은 님 자신의 감정을 돌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님께서 최근 친구분께 짜증을 내고 예민하게 군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차분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혹시 다른 스트레스나 어려움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요?
- 친구분께 했던 모진 말들이 친구분에게 어떤 상처를 주었을지 헤아려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 이러한 자기 성찰은 앞으로의 관계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돕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 지금 당장 친구분에게 계속 연락하거나 매달리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친구분도 감정적으로 지쳐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친구분께 생각하고 정리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시간 동안 님도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다음 단계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친구분과 다시 대화할 기회가 생긴다면, 진심으로 사과할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단순히 "미안해"가 아니라, 님의 어떤 행동이 친구분에게 상처를 주었는지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사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를 들어, "내가 최근 너에게 너무 예민하게 굴고 짜증을 많이 내서 네가 많이 힘들었을 것 같아. 특히 그날 내가 마음에도 없는 모진 말을 해서 정말 미안해."와 같이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친구 A와의 저격에 대해서도 님이 느낀 상처를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친구분의 입장이 궁금하다는 점을 전달할 필요가 있습니다.
- 친구분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님에게도, 친구분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이 시기에 가족, 다른 친구, 혹은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님의 감정을 나누고 지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님께서 불안장애도 심해졌다고 하셨는데, 이러한 감정들을 혼자 감당하기보다 주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보세요.
- 친구분과의 관계가 힘들더라도 학교, 학원, 일상생활을 놓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님 자신의 삶을 잘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님께서 이 상황을 극복하고 더 단단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친구분과의 관계가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님 자신의 마음을 잘 돌보고 성숙하게 행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하려 하지 마세요. 힘든 마음을 주변에 이야기하고 도움을 받는 것도 용기 있는 행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