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자동차보험 가입 이번에 결혼한 신혼 부부 이고 둘다 차가 없는 상태입니다 내년에
이번에 결혼한 신혼 부부 이고 둘다 차가 없는 상태입니다 내년에 차를 받기위해 곧 전기차를 계약할 예정인데요 어떤 방법이 가장 저렴하게 할수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남편 : 97년생 올해 만 28세 - 부모님 차량을 누구나 운전 보험으로 운전해서 아마 경력이 없는것으로 나올거고아내 : 00년생 올해 만 25세 - 위와 동일이런상황에서 차 구매시 공동명의로 할 예정인데, 보험가입할때 비율을 어떻게 하는것이 나을까여?별 차이가 없다면 아내 명의를 50프로 이상 가져가고 싶습니다. 이유는 설명하기가 좀 길어서,, 간략히 말씀드리면 제가 해외에 주로 있어야하고 차 관련하여 보험가입, 차량인도 등등 아내가 결제하고 진행하는게 나을거 같아서요 (테슬라 구입예정)혹은 아내룰 50퍼 이상 하고 나중에 갱신때 비율을 제가 많은것으로 바꿔도 대는지?
엉터리 AI답변들에 속아서 추가질문들을 하셨네요.
1. 질문자님은 피보험자로, 아내분을 피보험자로 각각 보험료를 산출해 봐야 합니다.
그래야 어느 분의 보험료가 더 저렴한지 알 수 있지요.
2. 남편분의 경우 본인명의로 자동차보험을 가입한 적이 없지만
-> [가입경력]을 소급하여 인정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부모님이 자동차보험을 가입할 때 운전범위를 [누구나]로 한 경우에는 인정이 안 되지만
-> [가족한정, 지정1인] 등의 유형으로 운전범위를 가입한 경우에는 인정이 됩니다.
최대 3년간의 가입경력이 인정되기 때문에 보험료를 낮추는데 도움이 돼요.
누구나로 가입하셨다고 적으셨는데, 다시 한 번 자동차보험사에 확인은 해 보세요.
가족만 운전하는 차량에 운전범위를 [누구나]로 가입하는 경우는 없으니까요.
-> 나이에 상관없이, 원하는 %로 설정해도 됩니다.
아내분이 99%의 지분을 가져 가는 것이 좋으면 그렇게 하셔도 돼요.
나중에 지분율을 변동하는 것도 언제나 가능한데
-> 지분을 변동시킬 때마다, 변동하는 지분만큼 취등록세를 내야 합니다.
그런데, 질문자님의 명의로 자동차보험을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면 왜 [공동명의]를 하려 하나요?
실제 차주는 한 명인데 보험료를 저렴하게 하려고 한 분을 더 모셔 오는 경우에
어차피 아내분을 피보험자로 자동차보험을 가입하게 하고 관리도 하게 하실 것이라면,
답변의 채택은, 귀한 시간을 내어 자신에게 도움을 준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합니다.
답변은 채택하지도 않고서 추가질문이나 댓글질문만 계속 하는 경우도 많은데,
그런 예의없는 질문에는 추가답변을 하지 않겠습니다.
질문자님의 답변채택으로 인해 네이버로부터 제가 받게 되는 해피빈 100원은,
의료비나 생활비의 지원이 절실한 어려운 환경의 아이들에게 기부하고 있습니다.
제 귀한 시간을 내어 질문자님을 도와 드렸으니, 질문자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어 주세요.
화면 우측 하단의 [포인트 선물]을 통해 네이버pay를 보내 주시면 해피빈과 함께 기부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