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사회초년생 기초 제테크 안녕하세요 올해로 24살인 사회초년생 여성 (아직은 취준생) 입니다.이번 민생회복쿠폰을 통해,
안녕하세요 올해로 24살인 사회초년생 여성 (아직은 취준생) 입니다.이번 민생회복쿠폰을 통해, 카카오뱅크나 토스 같은 인터넷 뱅크가 아닌 제1금융권을 쓰라는 조언들을 보게 되어 제가 그동안 너무 무지했나 싶습니다.현재까지 쭉 카카오뱅크, 네이버페이 결제만 해왔습니다.현재 수입은 없으며, 취업 전까지 아버지 용돈을 받고 있습니다.부끄럽지만 기초를 잡고자 하여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1. 신한은행, 우리은행 이 두가지 제1금융권 입출금 통장은 개설했습니다. 주거래은행을 하나로 잡아서 한가지 은행에서 입출금, 예적금, 체크카드 등의 경제활동을 몽땅 하는 게 좋은 건가요?2. 그 흔하다는 주택청약 적금, 또는 일반적금 그 아무것도 들어둔 것이 없습니다.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에 넣어두면 이자가 붙길래 편리하여 쭉 사용해 왔습니다. 기본적으로 "적금 -> 만기 시 예금으로 묶기"에 대해 대강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 이것도 1번에서 정한 주거래은행에서만 진행하는 게 맞을까요? 생활비를 제외한 남은 금액을 주택청약, 적금으로 하는 게 맞는 건지 싶습니다. 실은 적금과 예금의 개념도 잘은 모르겠지만, 달마다 일정금액을 입금하고 이자를 받는 게 맞을까요?3. 저는 주로 온라인 결제 (올리브영, 무신사, 에이블리, 카페 등)에 돈을 쓰는 편입니다. 그래서 주로 카카오뱅크 계좌를 연동한 네이버페이를 이용했는데, 제1금융권 체크카드를 등록하여 쓰는 것이 더욱 혜택이 좋다면 그걸 쓰는 게 맞을까요? 4. 비상금, 연금저축, 주택청약 적금, ISA계좌, ETF의 중요성에 대해 대충 보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건 직장인이 된 후에 시작할 수 있는 걸까요? 수입이 현재 없는 저로썬 적금->예금, 주택청약 적금을 하면 되는 게 맞을까요?마지막으로 부모님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은 언제가 적당한지, 또 전체적으로 아직 경제관념이 너무 없는 제게 조언해 주실 게 있다면 무엇이든 감사히 듣겠습니다.
1. 나쁘지는 않지고 꼭 그렇게 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편한 통장을 활용하세요
2.편한 곳을 활용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청약통장은 월 2만원 정도 자동이체를
걸어놓으세요. 여유가 된다면 10만원씩
하시구요
3.1금융권 체크카드보다 해당 사이트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곳으로 사용하세요
<사회초년생 재무설계>
-소득의 50%을 저축하세요
-저축포트폴리오 구성
저축금액 - 소득의 50%로 추천
단기 - 적금(저축금액의 50%)
중기 - 펀드(저축금액의 30%)
장기 - 노후자금(저축금액의 20%)
보험 - 소득의 5%이내(상황에 따라 다름)
추천 ETF=> S&P 500, 나스닥 ETF 추천
-매년 소득이 조금씩 오르게 되면
오른 금액의 50%는 저축을 하셔야 합니다.
위의 방법만 잘 지킬 수 있다면 자산이
순식간에 모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