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50년대 대학 1910~50년대 대학은 지금처럼 19살 마치고 대학가는거였나요아니면 잘사는 집은 16살에도 대학 입학하기도
1910~50년대 대학은 지금처럼 19살 마치고 대학가는거였나요아니면 잘사는 집은 16살에도 대학 입학하기도 했나요
1910~1950년대 한국(조선,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의 대학 입학 연령은 지금과는 조금 달랐어요. 아래에 시대별로 정리해 드릴게요.
✅ 1910~1950년대 대학 입학 연령은 어땠을까?
이 시기에는 ‘대학’이라는 개념 자체가 지금과 달랐어요.
대부분은 경성제국대학(현재 서울대 전신), 전문학교(의학, 법학 등 전문교육기관)가 고등 교육 기관이었습니다.
보통학교 → 고등보통학교 → 전문학교/대학 순으로 진학했기 때문에,
→ 대학 입학 연령이 지금보다 빠른 경우도 많았습니다.
→ 따라서 이론적으로 17~18세에 대학 진학이 가능했어요.
✅ 잘사는 집 자제들은 조기진학하거나 유학도 갔기 때문에 16~17세에 대학(또는 전문학교)에 입학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2. 1945~1950년대 (해방 후 ~ 전쟁기)
광복 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 시기에는 학제가 바뀌었지만,
고등학교(중등교육) → 대학교(고등교육)의 구조는 점차 현대적인 틀을 갖춰가기 시작했어요.
정규 학령과 다른 연령대 입학자도 흔했습니다.
즉, 어린 나이에 대학 가는 경우도, 나이 많은 학생이 뒤늦게 입학하는 경우도 모두 있었어요.
그 시절엔 16살에도 대학 입학이 가능한 분위기였고, 특히 잘사는 집안은 더더욱 그랬습니다.
지금처럼 수능 치고 19살에 무조건 대학 가는 방식은 아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