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영어 선택과목 (영미문학, 영독작) 진로가 국제학부나 정치외교학과 희망하는데요지방에 있는 일반고이고 공부를 그닥 잘하는 학교는

진로가 국제학부나 정치외교학과 희망하는데요지방에 있는 일반고이고 공부를 그닥 잘하는 학교는 아닌듯합니다..영어 선택과목을 정해야하는데영미문학는 진로과목이라 abc로 나오고, 영독작은 일반과목이라 등급으로 나오는데요영독작이 인원도 적고(진로과목으로 변경될 정도는 아님) 상위권 학생들이 좀 몰려있어서어떤 걸 선택해야 제게 알맞은 선택인 지 헷갈립니다어떤 과목을 고르는 게 좋을까요?
1. 희망 진로와 과목 관련성
국제학부·정치외교학과 → 외국어 역량(특히 영어 독해/쓰기 능력)과 국제적 시사 이해도가 중요합니다.
대학 입시에서 어필할 수 있는 부분은 영어 과목을 충실히 이수했다는 이력과 학생부에 기록되는 과목 성취 수준이에요.
2. 과목별 특징
(1) 영미문학 읽기
진로선택 과목 → 성취도가 A/B/C로 표기됩니다.
등급 부담은 적지만, 상위권을 가려내는 힘이 약해 대학에서 변별력 있게 보이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문학적 감수성, 텍스트 해석 능력을 보여줄 수 있어서 “국제학·정외” 희망 진로와는 연결고리가 있어요(‘국제문화 이해’, ‘영어권 문학을 통한 가치관 형성’ 등).
(2) 영어독해와 작문(영독작)
일반선택 과목 → 9등급제 성적 반영.
대학에서 비교과 확인 시 좀 더 직접적인 성적 비교가 가능해요.
특히 독해·쓰기 능력은 국제학부·정외과 지원자에게 핵심 역량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단점은 말씀하신 것처럼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몰려 있어서 등급 따기가 까다로울 수 있다는 점이에요.
3. 선택 전략
내신 등급 관리가 최우선이라면
→ “영미문학 읽기(A/B/C 성취평가)”가 부담이 덜합니다. 성적 방어용으로는 훨씬 유리하죠.
진로 적합성과 대학 학과 어필을 중시한다면
→ “영독작”이 더 설득력 있습니다.
특히 국제학부/정외과는 학생부종합(학종) 전형에서 언어 활용 능력 + 비판적 사고력을 보는 만큼, “영어 독해·작문을 심화해서 공부했다”는 기록은 플러스 요인이 됩니다.
학교 상황 고려
영독작 인원이 적어도 “진로선택 과목으로 바뀔 정도가 아니다” → 여전히 일반선택 과목으로 성적 반영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소수 정예라 경쟁은 치열하지만, 오히려 교사 피드백을 세밀하게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4. 제안
중상위 성적 이상, 영어에 강점이 있다면 → 영독작 추천
국제학부/정외과 지원할 때 학업역량·진로적합성을 어필하기 가장 좋습니다.
다만 내신 부담을 감수해야 해요.
내신 안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 → 영미문학 읽기 선택
성적 방어에는 유리하고, 대신 진로적합성은 비교과 활동(영어토론 동아리, 영어 발표, 모의유엔 활동 등)로 보완하면 됩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