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제습기 구매 후 배치 좀 도와주세요 여름이라서 제습기를 둘려하는데 위닉스 17L 뽀송 제습기를 구매하려하는데 조금 찾아보니
여름이라서 제습기를 둘려하는데 위닉스 17L 뽀송 제습기를 구매하려하는데 조금 찾아보니 거실에 두거나 옷장있는 방에 두는 사람이 계신데 사진은 대충 저희 집 구조랑 옷, 침대 있는 곳인데 거실에 큰거 하나를 둬도 옷이나 이런게 없어서 각 방마다 두는게 효율은 더 좋을까요 ??? 전기세도 어느정도 생각해서 말씀해주시면 너무너무너무 고맙겠습니다.  1. 17L 제습기를 24평 거실에 둬도 모든 방에 제습 효과가 나나요 ?2. 저용량을 방마다 배치를 하는게 가성비, 전기료, 제습효과가 더 뛰어날까요?
제습기를 옷장이나 옷방에 두는 이유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옷에 붙게 되면 스며들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공기중의 습도를 낮추어 옷에 있는 습기를 건조한 공기가 흡수하여 제습기를 통해 공기를 건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제습기는 모터로 기동하는 장치이고 공기중의 습도에 높으면 많은 기동을 하게 됩니다.
때문에 집안의 습도에 따라(주요원인) 제습기의 성능에 따라(부가 원인) 발생하는 전기세는 천차만별입니다.
1. 원하시는 수준의 제습효과 또는 집안의 습도에 따라 다르나 전체를 커버하기는 힘듭니다.
거실이 어느정도 습기가 모이는 곳이기는 하나 외벽과 가까운 방(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습도 상승)이 습도 높을 것이고 옷에서도 축축한 냄새가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습기를 제거하고자 하는 곳에 설치를 하시는게 좋아 보입니다.
2. 저용량을 각방의 배치하는게 제습효과가 좋습니다. 방이 외벽과 가까워 온도차에 의한 습도가 높아 거실에서 틀때보다 전기세는 높게 나올지 몰라도 제습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께서는 하나는 포기 하셔야됩니다. 제습효과 & 전기세를 같이 잡는 가성비 세팅은 힘듭니다.
약간의 팁을 드리자면 방마다 여름에 습도 상태가 틀릴겁니다. 다이소 같은 곳에 습도계 하나 사셔서 습도를 측정해 보시고 습도가 높은방에 우선 설치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시중에 이동이 편리한 제습기도 많이 팔고 있으니 고정형 설치가 아닌 물통이 달린 이동형을 구매하셔서 그때그때 습도에 맞추어 방/거실에 이동하여 가동하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